메시에 8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84는 1781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렌즈상 은하 또는 타원 은하이다. 메시에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세 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다. M84는 주변에 많은 은하들이 밀집되어 있는 마르카리안의 사슬에 속해 있으며, 중심부에 블랙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91
메시에 91은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막대나선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며 약 5200만 ~ 5800만 광년 거리에 있고, 우리 은하를 향해 접근하며 빈혈 은하라는 특징을 갖는다.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85
메시에 85는 머리털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로, 특이한 구조와 은하 병합 흔적을 지니며, 다른 은하들과 상호작용하고 초신성 및 밝은 적색 신성이 관측되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으로, 가스 행성 중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으며, 암석 핵, 얼음 맨틀, 수소와 헬륨 대기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98도 기울어진 자전축, 낮은 내부 열, 희미한 고리, 비대칭적인 자기장,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처녀자리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처녀자리 - ULAS1335
메시에 84 | |
---|---|
기본 정보 | |
![]() | |
메시에 번호 | 메시에 84 |
NGC | NGC 4374 |
PGC | PGC 40455 |
UGC | UGC 7494 |
VCC | VCC 763 |
별자리 | 처녀자리 |
은하 종류 | E1 (타원 은하), 렌즈형 은하, 세이퍼트 은하 |
시선 속도 | 1008 km/s |
거리 | 6000만 광년(약 18 Mpc) |
겉보기 등급 | 9.1 |
겉보기 크기 | 6.5' × 5.6' |
적색 편이 | 0.003369 |
물리적 특성 | |
절대 등급 | -22.41 |
유효 반지름 | 72.5 각초(arcsecond) |
광도 | 7.64×10^10 태양 광도 |
질량 | 1.5 × 10^9 태양 질량 |
식별 부호 | |
기타 명칭 | M84, NGC 4374, PGC 40455, UGC 7494, VCC 763 |
SIMBAD | M 84 |
위치 정보 |
2. 관측 역사
1781년 3월 18일, 샤를 메시에는 구상 성단 M92와 8개의 은하를 발견하면서 M84를 발견했다.
5cm 구경의 망원경으로는 희미하게 보인다는 보고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관측이 어렵다. 10cm 구경의 망원경으로는 옆의 M86과 함께 보인다. 둘 다 타원으로 보이지만, M86이 더 타원으로 보인다. 또한 M84가 더 밝고 작게 보인다. 20cm 구경에서는 M84의 존재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으며, M86 외에 NGC 4388, NGC 4435, NGC 4438 등의 어두운 은하도 관측 가능하다. 30cm 구경에서는 NGC 4402, NGC 4387, NGC 4388 등 더 많은 은하들을 관측할 수 있다. M84와 M86 주변을 대구경 망원경으로 저배율 관측 시, 수많은 은하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 NGC 4435, NGC 4438, NGC 4461, NGC 4473, NGC 4477, NGC 4459, NGC 4474, M88까지 은하들이 일련의 흐름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마르카리안의 사슬(마르카리안 은하 사슬)이라고도 부른다.
메시에는 "M84는 별이 없는 성운으로, 중심부는 상당히 밝고, 다소 성운상의 물질에 둘러싸여 있다. 밝기와 외관은 M59나 M60과 비슷하다"고 기록했다. 존 허셜은 1868년 자신의 목록에 "매우 밝고, 상당히 크다. 둥글고 중앙부는 갑자기 밝아진다. 분리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썼다. 하인리히 다레스트는 "중심부가 잘 빛난다. 원형이다. 중심부가 점차 밝아진다. 최소 지름 3'. 핵은 10~13등성에 필적한다. 성단에 밀접하게 작은 푸르스름한 소성운이 남쪽에 후속한다"고 기록했다.
3. 관측 방법
4. 초신성
타원은하에서 이러한 높은 초신성 발생률은 드문 현상이며, 이는 M84에 중간 연령의 별 개체군이 존재함을 시사할 수 있다.
4. 1. SN 1957B
SN 1957B는 Ia형 초신성이며, 12.5등급으로 관측되었다. 1957년 4월 28일 H. S. 게이츠가 발견했고, 1957년 5월 18일 G. 로마노 박사가 독립적으로 발견했다.[2]
4. 2. SN 1980I
SN 1980I는 1980년 6월 13일 M. 로스커가 발견한 Ia형 초신성으로, 14등급으로 관측되었다.[3] 역사적으로 M84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인접 은하 NGC 4387 또는 M86에 속할 수도 있다.
4. 3. SN 1991bg
쿠시다 레이키가 1991년 12월 3일에 발견했다.[4] Ia-pec형 초신성이며, 14등급으로 관측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84
https://messier.seds[...]
2022-04-30
[2]
웹사이트
SN 1957B
https://www.wis-tns.[...]
IAU
2024-12-04
[3]
웹사이트
SN 1980I
https://www.wis-tns.[...]
IAU
2024-12-04
[4]
웹사이트
SN 1991bg
https://www.wis-tns.[...]
IAU
2024-12-04
[5]
논문
Chandra Observation of Low-Mass X-Ray Binaries in the Elliptical Galaxy M84
http://adsabs.harvar[...]
[6]
서적
Messier's Nebulae and Star Clus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An Attempt to Probe the Radio Jet Collimation Regions in NGC 4278, NGC 4374 (M84), and NGC 6166
http://adsabs.harvar[...]
[8]
논문
Supernova in NGC 4374 (= M 84)
http://adsabs.harvar[...]
[9]
논문
Supernova 1991bg in NGC 4374
http://adsabs.harvar[...]
[10]
논문
The spectrum of the intergalactic supernova 1980I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